컴퓨터활용능력 1급/핵심 이론

[컴활 1급 핵심 이론] POINT 03. 바탕 화면

2024. 7. 3. 23:02
728x90

 이 글은 영진 닷컴의 이기적 수험서, '컴퓨터 활용 능력 1급 필기 절대 족보'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입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222359

 

2024 이기적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절대족보 | 홍태성 - 교보문고

2024 이기적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절대족보 | 본 도서는 최신 출제 기준을 철저히 반영하여,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효과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학습할 수 있도

product.kyobobook.co.kr

 

 

 

 

 


 

 

 

 

 

01. 바탕화면의 개요

Windows에서 기본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

 

  • 한글 Windows 설치 시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과 작업 표시줄로 구성되어 있다.
  • 바탕 화면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개인 설정]을 클릭하여 바탕 화면 배경을 설정할 수 있다.
  • 배경 그림으로 BMP, GIF, JPG, DIB, PNG 등의 확장자를 가진 이미지 파일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HTML 문서(Active Desktop)는 배경 그림으로 사용할 수 없다.
  • 여러 사진을 선택하여 바탕 화면 배경 슬라이드 쇼를 만들 수 있다.

 

 

 

 

 


 

 

 

 

 

02. 작업 표시줄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들이 표시되는 부분. 응용 프로그램 간 작업 전환이 한 번의 클릭으로 가능하다.

 

적업 표시줄 설정: 작업 표시줄의 빈 부분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한 다음 '작업 표시줄 설정(속성)'을 선택한다.

종류 의미
작업 표시줄 잠금 작업 표시줄에 있는 작업 도구를 이동하거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음
데스크톱 모드에서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작업 표시줄을 사용할 때만 화면에 보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사라짐
작은 작업 표시줄 단추 사용 작업 표시줄에 작은 아이콘을 사용하여 나타냄
화면에서의 작업 표시줄 위치 - 화면에서의 작업 표시줄 위치를 설정함(아래쪽, 왼쪽, 오른쪽, 위쪽)
- 마우스로 작업 표시줄을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하여 변경 가능
작업 표시줄 단추 하나로 표시
(작업 표시줄 단추)
- 작업 표시줄에 단추 표시 유형을 설정함
- 항상, 레이블 숨기기(항상 단추 하나로 표시, 레이블 숨기기)
- 작업 표시줄이 꽉 찼을 때(작업 표시줄이 꽉 차면 단추 하나로 표시)
- 안 함(단추 하나로 표시 안 함)
알림 영역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아이콘 및 알림을 지정함
바탕 화면 미리 보기 작업 표시줄 끝에 있는 바탕 화면 보기 단추로 마우스를 이동할 때 미리 보기를 사용하여 바탕 화면 미리 보기

 

 

 

 

 


 

 

 

 

 

03. 시작 메뉴

 

  • Windows 대부분의 작업이 시작되는 곳이다.
  • 내 PC에 설치된 앱과 프로그램을 시작 화면이나 작업 표시줄에 고정하고 파일의 위치를 열거나 제거할 수 있다.
  • 시작 메뉴의 크기 조정이 가능하므로 앱과 프로그램이 많아서 필요한 경우 크기를 늘릴 수 있다.
  • 시작 메뉴에는 최근에 추가한 앱이 표시된다.
  • [시작] - [설정] - [개인 설정] - [시작]에서 최근에 추가된 앱 표시 여부를 켜거나, 끌 수 있다.
  • 시작 메뉴에는 알파벳 순서대로, 한글 자음 순서대로 그룹으로 묶여 앱이 표시된다.

 

 

 

 

 


 

 

 

 

 

04. 시작 프로그램

 

  • 시작 프로그램에 들어 있는 프로그램들은 Windows가 시작될 떄 자동으로 실행된다.
  • 자동으로 실행되기 원하는 앱(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시작 프로그램에 복사해서 넣으면 된다.
  • 시작프로그램 폴더가 열리면 Windows 시작 시 자동으로 실행되길 원하는 파일이나 앱을 복사하여 폴더에 넣으면 된다.
  • 시작프로그램 폴더는 'C:\Users\사용자 계정이름\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tartup'에 위치한다.
  • 자동 실행을 원하지 않을 경우 작업 관리자(Ctrl + Shift + Esc) 창 - [시작프로그램] - [사용 안 함]을 클릭하면 된다.

 

 

 

 

 


 

 

 

 

 

05. 바로 가기 아이콘

※ 프로그램을 빨리 실행하기 위해 만든 아이콘이다.

 

  • 바로 가기 아이콘을 삭제하거나 이동해도 원본 파일이나 폴더는 삭제되지 않는다.
  • 이름을 다르게 하면 여러 개를 만들 수 있다.
  • 파일, 폴더, 디스크 드라이브, 프로그램, 프린터, 네트워크 등의 개체를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만들 수 있다.
  • 바로 가기 아이콘은 하나의 파일로 확장자는 .LNK로 지정된다.

 

바로 가기 아이콘 생성 방법

순서 방법
방법 1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여 바로 가기 메뉴가 나타나면 [새로 만들기] - [바로 가기]를 선택한 후 실행 파일을 찾아 생성함
방법 2 파일 탐색기의 실행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족 다누를 클릭한 채 바탕 화면으로 드래그한 후 표시되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여기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함
방법 3 파일 탐색기에서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홈] - [클립보드] - [복사]를 선택한 후 바탕화면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바로 가기 붙여넣기]를 선택함
방법 4 Ctrl + Shift를 누른 채 개체를 선택한 후 원하는 위치에 끌어서 놓음

 

 

 

 

 


 

 

 

 

 

06. 휴지통

※ 작업 도중 삭제된 자료들이 임시로 보관되는 장소.

 

◈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 복원하는 방법

순서 방법
방법 1 복원할 객체를 선택한 후 [선택한 항목 복원]을 선택함
방법 2 복원할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복원]을 선택함
방법 3 휴지통의 파일을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함

 

 

◈ 휴지통의 용량 조절하기

  • 바탕 화면 휴지통의 바로 가기 메뉴 중 [속성]을 선택하면 [휴지통 속성]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 여러 하드 드라이브, 파티션 또는 컴퓨터에 연결된 외장 드라이브가 있는 경우, 각 위치별로 휴지통의 최대 크기 설정을 MB 단위로 할 수 있다.

 

 

◈ 휴지통에서 보관되지 않는 경우

  • Shift + Delete를 눌러 파일을 삭제한 경우
  • Shift를 누른 채 삭제할 파일이나 폴더를 마우스 왼쪽 단추로 끌어서 휴지통 아이콘에 놓을 경우
  • [휴지통 속성]에서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 옵션을 선택한 경우
  • 플로피디스크나 USB 메모리에서 삭제한 경우
  • 네트워크상에 있는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
  • 휴지통 용량보다 큰 파일을 삭제한 경우
  • 도스 창(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삭제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