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상에 다양한 저장 장치가 존재한다. 그 중 대표적으로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가 있다. 그 속에 다양한 데이터들이 있다. 컴퓨터에게 값을 검색하라 하면 하드 디스크에서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로 올린다. 데이터 값과 Block이라는 값이 통째로 Bocker를 통해서 들어간다. Block 사이즈가 작더라도 원하지 않는 값까지 모두 들어간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테이블이 나뉘어져 있어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쪼개져서 올라오면 속도가 빠르지만, 원하는 데이터들을 합쳐서 보내줘야 한다. 이러한 원리를 JOIN이라고 한다. JOIN을 하는 이유 정규화라는 개념이 있다.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의 큰 테이블을 여러 개로 쪼개는 ..